티스토리 뷰
반응형
혈당계는 크게 3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1. 노코딩
2. 오토코딩
3. 수동코딩
무엇이 다를까요?
1. 노코딩 : 혈당 시험지를 쓸때 코드 번호 입력이 필요 없습니다. 혈당계 자체에 코드가 입력되어
복잡한 과정 없이 시험지를 꼽고 혈당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2. 오토코딩 : 혈당 시험지를 쓸때 코드 번호 입력을 자동으로 해줍니다. 시험지를 꼽으면 자동으로 코드를
인식합니다.
3. 수동코딩 : 혈당 시험지를 쓸때 코드 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그래서 노코딩이나 오토코딩 혈당계를 많이 사용합니다.
혈당계 구입 팁!
혈당계는 보통 혈당계와 사혈기, 사혈침 으로 구성되어 있고 초기에는 사혈침이 10개 정도만 들어 있기 때문에
혈당계를 처음 구입하신다면 기기에 맞는 혈당 시험지를 추가로 구입하시는게 좋습니다.
혈당계도 보급형 부터 고급 모델까지 종류가 다양하지만 저렴한 제품도 데일리로 충분히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보통 혈당계 본체는 저렴하나 나중에 시험지를 구입하려니 기기가 비싼 모델의 시험지보다 더 비싼 경우도 있으니
새 혈당계 구입시 기존에 쓰던것과 호환이 되는지, 아니면 시험지 가격이 너무 비싼게 아닌지 비교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