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피임약의 기본 효과은 이름처럼 피임이고 그외에 생리통 완화, 월경전증후군, 월경과다, 자궁내막암+난소암 예방,생리를 조절하거나 여드름이 심하거나, 생리불순, 다낭성 난소증후군에도 피임약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피임약 하면 뭔가 좋지 않고 먹으면 안될것 같아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그로인해 원치 않는 임신으로 더 큰 문제를 겪기도 합니다. 그래서 경구 피임약의 부작용은 어떤게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세대는 시중에 판매되지 않고, 4세대는 전문의약품으로 의사처방이 필요해 의사와 상담하면 자세히 안내를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그래서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는 2세대와 3세대의 부작용에 대해서 다룹니다.
피임약은 전체적으로 '혈전 생성' 이라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혈전은 피가 굳어져서 생기는 피딱지로
우리몸에는 굵은 혈관도 있지만 손 끝과 다리 끝으로 갈 수록 가늘어지는 모세혈관도 있는데 이런 혈전이 생기면
혈전이 우리몸을 돌다가 혈관을 막을 수 있습니다. 혈관이 막히면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손,발이 저리거나
심한경우 뇌출혈이나 심장병으로 생명에 위험해 질 수 있습니다.
2세대 피임약에는 호르몬 조절성분이 남성호르몬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여드름이나 다모증 또는
체중증가, 다리가 붓는 부종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신 혈전이 생기는 부작용은 3세대 보다 적습니다.
3세대 피임약은 2세대 부작용을 줄위기 위해 에스트로겐 함량을 줄여서 체중조절과 여드름 개선, 다낭성 난소증후군 치료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혈전이 생기는 부작용이 2세대 보다 높습니다.
4세대는 위의 2,3세대보다 혈전 부작용이 더 높기 때문에 평소 고혈압이나 고지혈증이 있다면 피임약 세대와 상관없이
의사나 약사와 꼭 상담 받은후 본인에게 맞는 피임약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경구 피임약을 절대 먹으면 안되는 조건은 35세이상이면서 흡연을 하시는 분이며, 모든 세대를 포함하여 제약회사에서도
강력하게 경고하고 있습니다. 나이가 꼭 35세가 아니더라도 흡연을 한다면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셔야 하고
피임약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피임을 권장드립니다.
같이 보면 도움이 되는 글 ↓ ↓ ↓ ↓ ↓
경구 피임약의 종류
피임약은 세대별로 종류가 나뉘어 집니다. 1세대는 초기 경구 피임약으로 현재는 판매가 중단 되었습니다. 2세대에 해당하는 피임약은미니보라, 에이리스, 쎄스콘, 트리퀄라, 애니브 3세대에
healthy100olds.tistory.com